피난안내도

피난안내도

피난안내도란?

피난안내도는 건물이나 시설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상 상황에 대비해 피난 경로와 안전한 장소를 표시한 지도입니다. 보통 화재, 지진, 또는 다른 재난 상황에서 사람들이 빠르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.
갤1_1
이 도표는 건물 내 여러 곳에 배치되어 있어, 사람이 비상 상황에 빠졌을 때 쉽게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
No. 1

비상구 및 대피로 : 사람들이 빠르게 대피할 수 있는 경로를 나타냅니다.

No. 2

소화기, 소화전 위치 : 화재 발생 시 사용할 수 있는 소화 기구들의 위치를 표시합니다.

No. 3

집합 장소 : 대피 후 사람들이 모여야 하는 안전한 장소가 표시됩니다.

No. 4

출입구와 주요 시설 : 건물의 주요 출입구와 중요한 시설들을 나타냅니다.

No. 5

비상 연락처 : 긴급 상황 시 연락할 수 있는 전화번호나 부서 정보가 기재될 수 있습니다.

피난안내도 법령에 따른 작성 기준

1. 목적 및 적용범위

표준 피난안내도는 피난안내도에 대한 작성 기준을 정함으로써 관계자가 쉽고 통일성 있게 작성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소방안전관리대상물 및 다중이용업소 등에 적용할 수 있다.

2. 용어 정의

- 피난안내도 건물 내 사용자에게 피난에 필요한 요소를 설명하고 피난동선을 파악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그림으로 화재 시 피난요령 및 '소화기 사용요령' 등을 포함한다.
- 피난동선 화재 시 비상구 또는 계단 등으로의 피난경로를 화살표 등으로 표현한 선을 말한다.
- 피난평면도 해당 층의 평면도를 간략화하여 소방시설 및 피난동선 등을 표시한 평면도를 말한다.
- 현재위치 피난안내도가 설치된 위치를 말한다.

3. 공통 작성요령

- 피난안내도는 계단, 비상구, 피난동선 등을 중심으로 간략하고 명확하게 작성한다.
- 피난안내도는 충분한 가시성과 가독성이 있어야 한다.

4. 내용 및 표시, 설치위치

- 화재 시 피난요령 및 '소화기 사용요령'은 예시와 같은 내용으로 하며 해당 장소에 적절한 외국어를 병기하여 사용한다.
- 비상구 표시는 계단입구 또는 주출입구 및 비상구에 예시의 범례와 같이 표시한다.
- 피난동선은 명확하게 표시하며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양방향 또는 가장 가까운 피난경로를 작성한다.
- 소화기 및 발신기 등 소방설비는 해당 설비가 설치된 곳에 예시의 범례와 같이 표시한다.
- 피난안내도는 각 층마다 설치하되 쉽게 접근하여 잘 볼 수 있는 곳에 설치한다.
(다중이용업소는 관련법에 따름.)

5. 규격

- 크기 A3(420x297mm) 이상의 크기로 하며, 다만 다중이용업소의 경우 바닥면적이 각각 400m2 미만인 경우 B4(364x 257mm) 이상의 크기로 할 수 있다.
- 재질 코팅처리한 종이, 아크릴, 강판 등 쉽게 훼손 또는 변형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.
- 구성들 피난안내도의 제목은 상단부 좌측에, 건물명(업체명)과 층수는 상단부 우측에 표기한다.
'화재 시 피난요령'과 '소화기 사용요령'은 픽토그램과 함께 중앙부 좌측 또는 우측에 표기하며, 그 범위가 가로 폭 대비 25%이상을 넘어가지 않도록 작성한다.